유산균과 프로바이오틱스의 차이

건강관리

유산균과 프로바이오틱스의 차이

빨대를든자유시인 2023. 7. 18. 13:58
반응형

장 건강 때문에 유산균이 들어있는 제품을 많이 섭취하고 계실 겁니다. 그런데 유산균과 프로바이오틱스를 혼용해서 쓰기 때문의 둘의 차이가 어떤 건지 헷갈리실 거 같습니다.

 

그러면 유산균과 프로바이오틱스의 차이는 무엇일까요?

 

유산균과 프로바이오틱스의 차이

 

유산균과 프로바이오틱스는 미생물의 한 종류로 우리 몸에 유익한 영향을 줍니다. 하지만 엄밀히 얘기하면 두 용어는 다른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.

 

유산균의 정의

유산균은 우리 몸 안에서 건강에 유익한 효과를 주는 미생물입니다. 다른 말로 락토바실러스(Lactobacillus)라고 불립니다.

 

유산균은 젖산균을 일종으로 사람의 내장, 구강, 생식기 등에 분포되고 있습니다. 장 건강이나 질 건강에 좋은 효과를 주며 면역력을 높이는 데도 도움을 줍니다.

 

 

프로바이오틱스의 정의

유산균과 프로바이오틱스의 차이가 궁금하실 텐데, 프로바이오틱스와 관련된 개념에 대해 먼저 살펴보시면 이해가 편하실 거 같습니다.

 

- 프리바이오틱스: 유익균의 먹이

- 프로바이오틱스: 일정량 섭취했을 때 임체에 유용한 보건 효과가 있는 살아있는 유익균

- 포스트바이오틱스: 유익균이 만드는 물질. 단쇄지방산 '부티르산(butyrate)'이 대표적인 포스트 바이오틱스로, 장내에서 보호 물질의 분비를 촉진하고 면역 기능 조절을 함

 

프로바이오틱스에는 다양한 균종이 있고, 조금씩의 기능적인 차이가 있습니다. 그중 유산균(lactobacillus)은 젖산을 만들어 장 내 환경을 산성화해 유해균을 감소시킵니다.

 

이렇듯 유산균은 프로바이오틱스의 한 종류입니다.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고시한 장 건강에 대한 균주는 총 19종으로 유산균으 그중 11종을 차지하고 있습니다.

 

* 19종: Lactobacillus 11종, Lactococcus 1종, Enterococcus 2종, Streptococcus 1종, Bifidobacterium 4종

 

이렇듯 유산균과 프로바이오틱스의 차이는 유산균이 프로바이오틱스이 한 종류이고, 우리가 흔히 아는 유산균은 프로바이오틱스라는 점입니다.

 

프로바이오틱스 종류와 함유량 확인

섭취하는 제품을 보시면 들어있는 균주를 확인하실 수 있을 겁니다. 예로 들어 제일 흔하게 먹는 '락O핏' 제품을 살펴보면 생균 20억 CFU이 들어있다고 나오네요.

 

그리고 들어있는 균주를 보면 락토바실러스균도 있지만, 비피도박테리움(Bifidobacterium)과 스트렙토코커스(Streptococcus)이 들어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 

식약처 기준으로 일일섭취량이 1억~100억이니 충분한 균을 보유하고 아까 설명드린 유익균의 먹이인 프리바이오틱스도 들어있다는 것도 나와있습니다.

 

유산균과 프로바이오틱스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, 꾸준히 본인 몸에 맞는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을 찾아서 잘 드시고 건강관리 잘하셨으면 좋겠습니다.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