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13년 국립국어원에서 밝힌 자료에서 국민 100명 중 98명이 틀리는 맞춤법으로 바로 이것을 꼽았습니다. '어따 대고'인지 '얻다 대고'인지 알아보겠습니다. '어따 대고' vs '얻다 대고 바로 정답을 말씀드리면, '얻다 대고'가 맞는 표현입니다. '얻다'의 뜻 중에 하나는 "지시 대명사 '어디'에 부사격 조사 '에다'가 붙여서 준 말"이라고 나와 있습니다. - 예문 1) 얻다 대고 반말이야? - 예문 2) 얻다 대고 감히 지적을 해? - 예문 3) 얼굴만은 얻다 내놓아도 손색이 없을 것 같았다. 그럼 어따는 어떤 뜻이 있을까요? 어따: (감탄사) 무엇이 몹시 심하거나 하여 못마땅해서 빈정거릴 때 내는 소리. - 예문 1) 어따, 잔소리 좀 그만해. - 예문 2) 어따, 영감님. 요새는 시골이 더 편..